문제소개 해결과정 DP로 어떻게 해결할지 접근하며 처음에는 단순히 3차원 dp배열을 생성해 dp[아이를 옮긴 횟수][어떤 아이를 옮겼는지][몇 번째 인덱스로 옮겼는지] 와 같이 접근을 시도했지만 해결하지 못했다. 해결방법을 찾던 중 최장 증가 부분 수열을 이용해 문제를 푸는 것이라는 정보를 알게되었고, 최장 증가 부분 수열에 대해 공부했다. 최장 증가 부분 수열이란, 주어진 수열(혹은 배열)에서 임의의 원소를 쭉 뽑았을 때 항상 증가하는 순서로 원소를 뽑은 경우 중에서 가장 길이가 긴 수열을 의미한다. 예시로, {3, 4, 6, 1, 2, 4, 7, 9} 라는 수열이 존재할 때 {3, 4, 6, 7, 9} 혹은 {1, 2, 4, 7, 9}를 뽑는 것이 최장 증가 부분 수열을 구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