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 53이란 AWS에서 제공하는 DNS 서비스이다.
DNS (Domain Name System)
특정 웹사이트,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목적지 대상의 ip주소가 필요하다.
모두가 알고있는 구글의 IPv4 주소는 8.8.8.8이다.
위와 같이 기억하기 쉬운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면 좋겠지만, 모든 ip주소가 그러하지 않다.
따라서 8.8.8.8 -> www.google.com과 같이 복잡한 주소체계를 특정 문자를 활용해 주소를 매핑하는 것이
DNS 서비스이다.
DNS 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DNS서버가 필요하다. 서버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예시를 통해 이해하는 것이 빠르다. 클라이언트가 www.google.com에 대한 IPv4 주소를 요청했다.
1. DNS 해석기 (DNS Resolver)
클라이언트와 네임서버들 간의 중계자로, 요청과 응답을 처리한다.
2. 루트 네임서버
DNS 해석기는 클라이언트로 부터 받은 쿼리(www.google.com)를 루트 네임서버로 전달한다.
루트 네임서버는 TLD(Top Level Domain) 도메인에 해당하는(.com) TLD 네임서버 주소를 반환한다.
(.com으로 끝나는 모든 주소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
3. TLD 네임서버
루트 네임서버로 부터 전달받은 TLD 네임서버에 DNS 해석기가 쿼리를 날린다.
이후 TLD 네임서버는 google.com에 대한 권한 있는 네임서버 주소를 반환한다.
4. 권한 있는 네임서버
TLD 네임서버로 부터 전달받은 쿼리에 의해 권한 있는 네임서버에서는 www.google.com에 대한
권한 있는 네임서버에 매핑되어있는 IPv4주소(8.8.8.8)를 DNS 해석기에 반환한다.
이후 DNS 해석기는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IP주소를 반환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www.google.com을 입력했을 때 자동으로 8.8.8.8 주소로
연결된다.
Route 53
Route 53은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DNS서비스이다.
1. 사용자는 Route 53을 통해 도메인 이름을 구매할 수 있고
2. 구매한 도메인 주소에 호스팅 영역을 생성해 네임서버를 구축할 수 있고
3. 레코드를 생성해 쿼리에 대한 응답을 유형별로 처리할 수 있고
4. 다양한 정책을 활용해 상황별로 효율적으로 트래픽 흐름을 조정 할 수 있다.
5. 사이트 중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애 발생시 대체 가능한 경로로 자동 라우팅한다.
6. Alias(별칭)을 사용해 도메인을 매핑할 수 있다.
7. VPC용 프라이빗 DNS을 활용해 외부 인터넷에 DNS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고 내부 AWS 리소스에 대한
사용자 지정 도메인 이름을 관리할 수 있다.
Route 53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호스팅 영역 : Route 53을 사용해 도메인 등록을 하면 자동으로 호스팅 영역이 생성된다. 호스팅 영역이 생성되면 네임 서버가 생성되어 DNS 쿼리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게된다.
2. 레코드 : 네임 서버에서 도메인 주소에 대한 매핑된 값을 유형별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ww.abc.com 이라는 도메인에 대한 A 레코드 값으로 IPv4 주소와 매핑 할 수 있다.
A : IPv4
AAAA : IPv6
NS : 도메인 네임 서버 식별
SOA : 도메인 영역을 표시하는 역할
MX : 이메일 서버 지정
등등 존재한다.
레코드를 생성할 때 다양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Route 53의 라우팅 정책은 다양하다.
1. 단순 라우팅 : 도메인에 대해 특정 하나의 리소스를 지정하게 된다. 레코드에 대한 값을 여러개의 리소스로 입력할 수 있으나, 이 중 하나의 값만 랜덤하게 응답한다.
2. 가중치 기반 라우팅 : 도메인에 대해 다수의 리소스를 지정하지만 단순 라우팅과 다르게 비중을 설정하여 어떤 리소스에 자주 접근할 지 정할 수 있다. (가중치 값은 0~255)
3. 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 리소스들이 여러 리전에 있을 때, 사용자의 위치상 인접된 리전과의 지연시간을 파악 후 가장 짧을 지연 대상으로 전달한다.

4. 장애 조치 라우팅 정책 : 액티브/패시브 리소스를 지정하여 주기적인 상태 확인을 통해 액티브 리소스가 통신이
불가능 할 경우 패시브 대상을 액티브 대상으로 변경해 해당 경로로 라우팅한다.

이외 지리 위치 라우팅, 지리 근접 라우팅, 다중값 응답 라우팅이 있다.
출처 : 따라하며 배우는 AWS 네트워크 입문
'AWS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Global Accelerator (0) | 2022.11.13 |
---|---|
CloudFront (CDN) (0) | 2022.11.13 |
ELB (Elastic Load Balancing) (0) | 2022.11.13 |
AWS의 인터넷 연결 (0) | 2022.11.13 |
VPC 엔드포인트 (0) | 2022.11.13 |